본문 바로가기

스페이스아웃

Desoland 210주기 - 금속 화산 이전 포스팅(150주기) 바로가기 지난번에 1행성에 냉각기 설치가 완료되어, 이제 플라스틱과 제련을 발열 걱정없이 진행할 수 있게 되었으나, 이젠 전력이 다음 도전과제가 되었다. 가스발전은 분명 효율적이고 편리하지만, 장차 복제체를 늘려가기에 가스벤트 하나에 의존하기에는 위험부담이 있다. 석유발전도 괜찮은 방법이긴 하지만, 유정에서 추출하는데도 에너지가 들어가서 현재 행성에서 좋은방법은 아니다. 석유발전을 하려면 복제체가 튜닝할 생각을 하고 해야하는데, 그다지 선호하지는 않음. 메인으로 사용할 태양광 발전을 진행하는게 목표다. 고온제조 기술을 개발한다. 어렵긴 하지만, 어쩔수없이 방사능을 다시 만들어서 연구를 진행했다. (100주기 완료) 연구가 완료되면, 고온지역에 설치한다. 50도로 냉각되는 파이프가.. 더보기
Desoland 150주기 - 증기터빈, 액체조화기, 냉각 이전 포스팅(100주기) 바로가기 3행성에 도작한 해롤드는 침실을 건설하고 필수장비인 수동발전기, 베터리, 산소생성기, 오븐을 만든다. 초반에 먹을게 없는데, 3행성에는 헐떡이가 많으므로 배고플때 잡아먹으면 된다. 따라서, 평화주의자 복제체를 보내면 안된다 3행성은 오염바이옴이 많아서 금아말감 자원이 많은데, 가능하면 초반에 1행성에 공수해올 필요가 있다. 금 아말감로 건조하면, 철광석/동광석으로 건조한것보다 과열온도를 50도 높여준다. 액체펌프, 플라스틱 사출기, 원유정제소의 과열온도가 75도 -> 125도가 되는데, 이는 원유바이옴에 정제 설비를 설치하는데 필수적인 재료이다. 서늘한 스팀벤트의 온도도 110도라서, 금아말감 액체펌프는 늘 고장없이 동작함을 보장해준다. 급한대로, 담을수 있는 1300k.. 더보기
Desoland 100주기, 전해조, 초기로켓 이전 포스팅(40주기) 바로가기 전해조를 통한 산소 공급을 준비하고 있다. 25~30주기부터 전해조를 준비하고 있었다. 순서는 "전해조 건설 필요 > 전해조를 위한 발전소 설치 필요 > 발전소 자동화를 위한 제련 필요" 이다. 그래서 제련부터 해야하는데... 현재 제련 설비가 없다. 현재 행성에서는 딱히 냉각수로 쓸만한 오염수가 존재하지 않아서, 제련소를 설치하기는 어렵고, 꼭 필요한것만 쇄석기로 만들고 간혹 채굴로 (텔레포터 오른쪽에 묻힌 제련된 철) 버텨보려고 한다. 쇄석기는 아래 그림처럼 광석 100kg로 제련된 금속 50kg만 만들어준다. (제련소는 100%전환) 아깝긴 하지만, 지금은 별로 방법이 없어서 일단 수동발전기와 쇄석기로 제련 진행. 제련된 구리 300kg을 제련했다면 스마트베터리 (2.. 더보기
Desoland(황량땅) 40주기 - 산소미포함 DLC 스페이스아웃 소행성 시작 이번 게임은 산소미포함 DLC(Spaced out!) 에서 소행성의 Desoland설정 플레이다. 아직 DLC가 정식 발매되지 않았고, 계속 패치되고 있는 관계로 버그가 많지만, 냉각기를 최대한 활용해서 안정적으로 게임을 플레이 해보고자한다. 게임 난이도는 식은죽먹기이긴한데, 나한텐 전혀 쉽지가 않았다. 2021년 11월 현재에도 DLC 맵 생성기 로직이 계속 변경되고 있어서, 같은 시드를 넣어서 같은 맵이 나올지는 모르겠다. 일단, 이 맵은 11개의 행성을 가지고 있고, 모두 작은 행성들이다. 내행성들은 모두 3타일~4타일 내에 있어서, 이산화탄소 엔진으로 왕복이 가능한 수준의 행성들이고 1행성 - 2행성간에는 텔레포트 포탈로 제한적인 물류/복제체 교환이 가능하다. 맵 생성시 초반 자원수급때문에 Des..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