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행성

Desoland 400주기 - 런처 마무리 이전 포스팅(370주기) 바로가기 소형석유엔진이 개발되어 5행성 탐사선을 만들어본다. 탐사선 내부에는 가급적 오래 거주할 수 있도록 우호적인 환경을 조성해준다. 산소석이 아직 많이 제련되지 않아서 2000kg정도만 넣어두고, 플라스틱 화장실과 물저장소를 설치해서, 2000kg이상의 물을 실어둔다. 3~4명의 복제체를 보낼 계획인데 4명기준 하루에 20kg의 물을 소요하므로, 100주기이상 장기 처리 가능한 화장실이다. 수동발전기가 필요는 없겠지만, 만약을 대비해서 만들었다. 맨 밑에는 이산화탄소를 감지해서 외부로 퍼내는 소형 펌프를 만들어둔다. 필터는 따로 두지 않았다. 로켓이 지상에 착륙해있을때는 기체벤트가 로켓 외부에 설치되어야 기체를 외부로 배출 할 수 있지만, 날아가는동안에는 그냥 배출이 된다. .. 더보기
Desoland 370주기 - 행성간 런처 이전 포스팅(300주기) 바로가기 런처 연구가 끝나서 1행성에서 런처 위치를 잡아본다. 씨근풀 위에 설치하는게 좋다. 2행성은 낮은 난이도에 비해 개발이 안되어서, 이번엔 중점적으로 개발해 보려고 한다. 2행성의 메인 분출구인 소금물 분출구를 개발해보자. 환경 보호복을 설치하고 조심스레 절연타일로 격벽을 만들어준다. 액체 펌프용 금아말감을 보내준다. (과열온도 125도) 어느덧 격벽이 완성되었다. 소금물 벤트는 분출량이 많아서 보통 12~16명정도의 복제체에 산소와 식량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아래쪽으로 조금더 길게파면 좋겠지만, 아래 방사능바이옴이 있어서 일단 이정도로 만족하기로 한다. 2행성 오른쪽에 냉각조를 만들 계획이다. 씨근풀 씨앗을 충분히 채집한 관계로 (총 7주 = 1행성3주 2행성2주 3행.. 더보기
Desoland 300주기 - 산소석, 배터리팩 이전 포스팅(250주기)바로가기 4행성 (Herbiol) 에 있는 씨근풀을 방사선 생성용으로 가져오기위해 여러차례 이산화탄소 로켓을 보내서 굴착을 진행했다. 개발이 안되서 산소보호복 설치도 어렵지만, 군데군데 있는 산소석을 에어포켓 삼아 씨근풀을 채집해본다. 녹바이옴을 둘러보면 간혹 한두개씩 씨근풀이 모여있다. 뽑아놓은 씨근풀은 우주선내에 저장고에 넣어둔다. 한편, 3행성에서는 화장실 레이아웃을 잡고있다. 아래처럼 행성내에 야생식물4개가 오염된흙이 아닌 타일에 있는곳을 발견해서 굴착을 하고있다. 여기는 자연보호샤워실을 만들 예정이고, 앞뒤로 화장실을 만들려고한다. 3행성 복제체들이 주방과 침실이 추운곳에 있어서 지속적으로 질병에 시달려서, 이참에 모두 따뜻한 행성 중간으로 옮겨준다. 이제 복제체 사기도 .. 더보기
Desoland 250주기 - 금속화산 이전 포스팅(210주기) 바로가기 2행성에 너무 신경을 안쓴것같아서, 유리를 좀 보내고 태양열 발전을 할 요량이다. 3행성에 금속화산을 더 열어보려고 하는데 액체벽용 석유, 원유가 부족해서 로켓이 좀더 부어준다. 재료가 탑재되면, 드디어 화장실을 제작. 매번 오갈때마다 오물을 만들던 복제체한테 좋은 소식이다. 플라스틱이 여유롭게되어 벽에 부착하는 화장실을 만들고, 물탱크를 넣을 공간은 없기때문에 파이프를 꼬불꼬불하게 만들어서 가능한 많이 물을 넣어둡니다. 파이프한칸에 10kg이 들어있는데 볼일볼때 총 5kg이 소모되므로, 30번 볼일볼 수 있다. 어차피 가까운 행성가는 소형 우주선은 이정도로도 왕복이 가능하다. 짬을 내서 2행성에 태양광 발전소를 짓는다. 망원경을 돌리기 위한 용도. 다시 멀티 테스킹이 .. 더보기
Desoland 210주기 - 금속 화산 이전 포스팅(150주기) 바로가기 지난번에 1행성에 냉각기 설치가 완료되어, 이제 플라스틱과 제련을 발열 걱정없이 진행할 수 있게 되었으나, 이젠 전력이 다음 도전과제가 되었다. 가스발전은 분명 효율적이고 편리하지만, 장차 복제체를 늘려가기에 가스벤트 하나에 의존하기에는 위험부담이 있다. 석유발전도 괜찮은 방법이긴 하지만, 유정에서 추출하는데도 에너지가 들어가서 현재 행성에서 좋은방법은 아니다. 석유발전을 하려면 복제체가 튜닝할 생각을 하고 해야하는데, 그다지 선호하지는 않음. 메인으로 사용할 태양광 발전을 진행하는게 목표다. 고온제조 기술을 개발한다. 어렵긴 하지만, 어쩔수없이 방사능을 다시 만들어서 연구를 진행했다. (100주기 완료) 연구가 완료되면, 고온지역에 설치한다. 50도로 냉각되는 파이프가.. 더보기
Desoland 150주기 - 증기터빈, 액체조화기, 냉각 이전 포스팅(100주기) 바로가기 3행성에 도작한 해롤드는 침실을 건설하고 필수장비인 수동발전기, 베터리, 산소생성기, 오븐을 만든다. 초반에 먹을게 없는데, 3행성에는 헐떡이가 많으므로 배고플때 잡아먹으면 된다. 따라서, 평화주의자 복제체를 보내면 안된다 3행성은 오염바이옴이 많아서 금아말감 자원이 많은데, 가능하면 초반에 1행성에 공수해올 필요가 있다. 금 아말감로 건조하면, 철광석/동광석으로 건조한것보다 과열온도를 50도 높여준다. 액체펌프, 플라스틱 사출기, 원유정제소의 과열온도가 75도 -> 125도가 되는데, 이는 원유바이옴에 정제 설비를 설치하는데 필수적인 재료이다. 서늘한 스팀벤트의 온도도 110도라서, 금아말감 액체펌프는 늘 고장없이 동작함을 보장해준다. 급한대로, 담을수 있는 1300k.. 더보기
Desoland 100주기, 전해조, 초기로켓 이전 포스팅(40주기) 바로가기 전해조를 통한 산소 공급을 준비하고 있다. 25~30주기부터 전해조를 준비하고 있었다. 순서는 "전해조 건설 필요 > 전해조를 위한 발전소 설치 필요 > 발전소 자동화를 위한 제련 필요" 이다. 그래서 제련부터 해야하는데... 현재 제련 설비가 없다. 현재 행성에서는 딱히 냉각수로 쓸만한 오염수가 존재하지 않아서, 제련소를 설치하기는 어렵고, 꼭 필요한것만 쇄석기로 만들고 간혹 채굴로 (텔레포터 오른쪽에 묻힌 제련된 철) 버텨보려고 한다. 쇄석기는 아래 그림처럼 광석 100kg로 제련된 금속 50kg만 만들어준다. (제련소는 100%전환) 아깝긴 하지만, 지금은 별로 방법이 없어서 일단 수동발전기와 쇄석기로 제련 진행. 제련된 구리 300kg을 제련했다면 스마트베터리 (2.. 더보기
Desoland(황량땅) 40주기 - 산소미포함 DLC 스페이스아웃 소행성 시작 이번 게임은 산소미포함 DLC(Spaced out!) 에서 소행성의 Desoland설정 플레이다. 아직 DLC가 정식 발매되지 않았고, 계속 패치되고 있는 관계로 버그가 많지만, 냉각기를 최대한 활용해서 안정적으로 게임을 플레이 해보고자한다. 게임 난이도는 식은죽먹기이긴한데, 나한텐 전혀 쉽지가 않았다. 2021년 11월 현재에도 DLC 맵 생성기 로직이 계속 변경되고 있어서, 같은 시드를 넣어서 같은 맵이 나올지는 모르겠다. 일단, 이 맵은 11개의 행성을 가지고 있고, 모두 작은 행성들이다. 내행성들은 모두 3타일~4타일 내에 있어서, 이산화탄소 엔진으로 왕복이 가능한 수준의 행성들이고 1행성 - 2행성간에는 텔레포트 포탈로 제한적인 물류/복제체 교환이 가능하다. 맵 생성시 초반 자원수급때문에 Des.. 더보기